최근 들어 자주쓰게 되는 notepad++어느날 갑자기 한글이 깨져서 보이게 되었다.한글이 ㅁㅁㅁㅁㅁㅁ 이런식으로 표현되는것이다. 위와 같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정 >> 스타일 환경설정으로 들어가서 언어와 스타일을 Global Styles 과 Global override 로 변경하시고글꼴을 원하는 형태로 변경하신 후에 저장하고 닫기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그래도 안되는 경우에는 하단에 전역글꼴 사용 이라는 체크박스를 체크해주시고저장하고 닫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기 됩니다.^^ 참 쉽죠~^^ 즐거운 프로그래밍 되시기 바라요^^
가끔 서버에 SSH 접속을 위한 툴이 필요할 때가 있다.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putty 라는 무료 ssh 접속 툴이다. putty를 다운 받기 위해서는 아래 사이트를 방문하면 다운 받을 수 있다. 1. 영문판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2.한글판 http://kldp.net/projects/iputty/download 위의 사이트들에서 putty를 다운 받고 실제로 접속 했을 시 아래 그림과 같이 한글이 깨질때가 있다. 위와 같이 한글이 깨진다면 putty의 캐릭터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먼저 해당 서버 정보를 입력 후 변환을 누른다. 변환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문자 셋을 변경 할 수 있는 패널이 나오게 되는데..
익스플로어를 사용하다보면 카드결제나 그와 비슷한 상황에서 호환성 보기 설정을 해야 그 이후 과정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가 있다. (-_-;;;;;) 이럴 때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호환성 보기 설정을 해주면 된다.(아래 설정은 IE10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 1. IE 상태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 메뉴가 나온다. 명령모음을 선택하자. 2. 명령모음을 선택하면 IE 우측끝에 도구라는 메뉴가 출력되게 된다. 도구를 선택하다. 3. 도구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팝업메뉴가 보이게 된다. 여기서 호환성 보기 설정을 선택한다. 4. 호환성 보기 설정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고 여기서 호환성 보기를 설정할 사이트의 주소를 추가해주면 된다.
어느날 갑자기 IE에서 검색을 이상한 검색창으로 연결되기 시작했다.LG U+ 인가에서 재공하는 SMART검색 이라는 녀석이었다. 이런 검색툴이 짜증나서 Bing 부터 시작해서 아무것도 안쓰는데, 어느날 갑자기연결되기 시작했다. 알아보니 이렇게 연결되는 이유가 두가지 중에 하나이다. 1. 스마트검색을 설치했다.2. 곰TV에서 서비스 해주는 경우 나의 경우는 2번째 경우였다.곰플레이어를 설치하면서 같이 설치된 gomHelper 라는 녀석이 이 서비스에 연결되게 하는 주범이었다.(한참 찾아 다녔네.....ㅡㅡ;;;;) gomHelper 라는 녀석을 삭제하자 SMART검색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하아~ 진짜 여러가지로 사람 힘들게 한다.
개발서버가 필요하게 되어서 PC를 한대 정해서OS 셋팅후에 원격데스크탑 설정까지 마무리 했다. 그런데 내가 접속하니 다른사람이 접속이 끊어지고 다른 사람이 접속하니내가 접속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물론 단일 세션으로 그대로 사용해도 서로 이야기만 잘되면 특별한 문제가발생하지 않을것으로 생각되지만 왠지 기분이 꺼끄러워서해당 문제에 대해서 찾아보게 되었다. 결론은 WINDOWS SERVER 계열이 아닌 경우에는 멀티세션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멀티 세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치를 해줘야 한다는 사실~~ 위에 첨부되어 있는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해제하고 원격PC에 옮긴 후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릴것이다. 위의 창의 옵션에서 Enable multi logons pe..
tomcat installer 버전을 사용하게 되면서 tomcat 로그를 계속적으로 봐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리눅스(Linux)의 경우에는 tai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서 콘솔에 로그를 계속적으로 띄워놓고 관리할 수 있는데 Windows CMD에는해당 명령어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명령어를 찾지 못해 결국 이리(?) 저리(?)알아보니, CMD에서 리눅스 tail을 쓸수 있게 해주는 방법을 찾게 되어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다른 방법도 있겠지만 제가 찾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tail-for-windows.en.softonic.com/tail for Windowstail for Windows, free download. tail for Windows 1: A 100% FREE ..
프로젝트 통합CI 툴을 젠킨스(jenskins)로 하기로 결정하고 젠킨스를 설치하였습니다.혹시 처음이신 다른분들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젠킨스의 경우는 war를 받아서 톰캣(tomcat)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고windows installer 버전을 받아서 install 하는 방식이 있는데저는 war로 받아서 톰캣에 배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1. 먼저 젠킨스를 다운받습니다.https://jenkins-ci.org/ 에 접속해서 젠킨스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붉은 박스로 표기되어 있는 부분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Java Web Archive(.war)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War 버전을 다운 받는 곳입니다. 2. 다운 받은 war 파일로 jenkins를 설치합니다. 다운받은 j..
Tomcat 7.X 버전과 Oracle 11g를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 서비스를 통해 연동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여기 저기 사이트 혹은 블로그의 글을 참조하였지만 딱 맞는 케이스가 없어서 여러번의 삽질(?)끝에 다행히도 성공하여서...혹시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저처럼 삽질(?)하지 마시고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서버사양은 위에서도 이야기 한것 처럼 Tomcat7.0 과 Oracle 11g 그리고 Eclipse Indigo 버전입니다.Eclipse에서 바로 사용할 목적이라면 tomcat 설치 폴더가 아니라 Eclipse에 설정된 Tomcat의설정을 찾아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Eclipse가 설치된 Tomcat의 설정이 아니 자체 설정을 가져..
Eclipse에서 Ant를 사용하여 Build를 실행시켰을 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com.sun.tools.javac.Main is not on the classpath위와 같은 경우에는 Eclipse >> Window >> Preference >> Ant >> Runtime 메뉴로 들어가서ClassPath >> Ant Home Entries 에 Jdk lib 폴더에 있는 tools.jar 를 추가해 주면 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프로젝트 기본 케릭터셋을 UTF-8로 맞췄음에도 불구하고콘솔 창에서 아래와 같이 한글이 깨지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헐~) 각종 Log 및 Query에 한글로 주석을 많이 달아 놓은탓에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게 많이 거슬리 더라구요...그래서 찾아봤더니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해결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먼저 Run >> Run Configration 탭을 엽니다~ 2. Run Configration 탭에서 Common 탭을 열구요 3. Encoding을 UTF-8로 변경해 줍니다. 4.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모두 즐거운 프로그래밍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