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로젝트 통합CI 툴을 젠킨스(jenskins)로 하기로 결정하고 젠킨스를 설치하였습니다.
혹시 처음이신 다른분들 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젠킨스의 경우는 war를 받아서 톰캣(tomcat)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고
windows installer 버전을 받아서 install 하는 방식이 있는데
저는 war로 받아서 톰캣에 배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1. 먼저 젠킨스를 다운받습니다.
https://jenkins-ci.org/ 에 접속해서 젠킨스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붉은 박스로 표기되어 있는 부분에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Java Web Archive(.war)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War 버전을 다운 받는 곳입니다.
2. 다운 받은 war 파일로 jenkins를 설치합니다.
다운받은 jenkins.war 를 톰캣 설치폴더의 webapps 안에 옮겨 놓고 tomcar 서버를 스타트
해줍니다.
3. 젠킨스에 접속합니다.
톰캣의 기본포트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http://localhost:8080/jenkins 라고 입력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4. 기본적인 내용을 설정한다.
좌측 메뉴의 Jenkins 관리를 클릭하고 나오는 화면에서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나오는 아래 화면에서 Jdk,Ant,Maven에 관련된 설정을 해줄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젠킨스에서 설치해주는 것 말고 제가 설치한 것들을 따로 쓰고 있습니다.
이상 jenkins 설치 및 기본 설정이었습니다.
즐거운 프로그램 되세요~
'Programming > 젠킨스(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Unsupported major.minor version 51.0 (unable to load class hudson.WebAppMain) 에러 대처 방법 (0) | 2015.05.19 |
---|